전체 공무원에서 여자공무원이 차지하는 수와 비율을 알아봅니다. 최근 5년간 연도별 여자공무원 추이를 알려드립니다. 이와 더불어 공무원 직종에 따른 여자공무원 수도 소개합니다. 마지막으로 부처별 여자공무원 순위도 알아봅시다.
안녕하세요. 최근 경제사정이 좋지 않음에 따라 직업의 선호도도 많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과거 안정직인 직장의 대명사인 공무원의 인기도 예전과 같이 않다는 뉴스를 보았습니다.
최근에는 사기업에 비해 낮은 연봉과 보수적인 문화를 가진 공무원보다는 본인의 능력을 마음껏 펼칠 수 있고 단기간에 큰돈을 벌 수 있는 크리에이터, 연예인, 프로그래머 등 전문직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2년 7월 통계청 자료를 보면, 청년층 비경재활동인 인 취준생의 30%는 여전히 공무원을 준비하고 있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소위 뒷배경이 없더라도 공무원 시험에만 합격하면 평생직장을 얻는 장점 때문인 거 같습니다.
공무원 조직이 보수적이기는 하지만 사기업에 비해 배경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고 성별에 대한 차별도 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워라밸이 가능하여 여자 취준생에게도 인기가 높습니다. 이 상황에서 과연 여자 공무원의 현실은 어떤지 궁금중을 자아내는데요.
오늘은 여자공무원 현실을 나타내는 통계 중에 하나인 공무원 사회에서 차지하는 여자공무원이 수와 비율에 대해 한번 이야기해 볼까 합니다.
1. 공무원의 종류
먼저 공무원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무원은 임기의 보장여부에 경력직공무원과 특수경력직 공무원으로 나뉩니다.
경력직 공무원은 임기가 보장되며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공무원입니다. 경력직 공무원에는 일반직 공무원과 특정직 공무원이 있습니다.
둘이 차이는 신분등에 있어 일반직 공무원은 보통의 공무원으로 공무원법을 적용받으며 특정직 공무원은 외무, 검사, 교사, 경찰, 소방 등으로 외무공무원법 등 특별법을 우선 적용받습니다.
특수경력직 공무원에는 정무직 공무원과 별정직 공무원이 있습니다. 정무직 공무원은 선거, 국회동의에 의하여 임용되는 공무원으로 고도의 정책결정업무를 담당하거나 이를 보조하는 공무원입니다.
별정직 공무원은 비서관, 비서 등 보좌업무 등을 수행하거나 특정한 업무 수행을 위해 법령에서 별정직으로 지정하는 공무원입니다.
오늘 내용은 인사혁신처에서 3년마다 발간하는 2022 인사혁신통계연보의 내용을 참고하였으며 공무원 수 기준은 21년 12월 31일 기준입니다.
2. 연도별 여자공무원 수
먼저 우리나라 전체 공무원 수는 1,156,326명입니다. 행정부 공무원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그 수는 1,129,545명이고 입법부는 4,801명, 사법부는 18,429명, 헌법재판소는 362명,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3,189명입니다.
행정부 공무원 중에서 국가공무원은 756,519명이며 지방공무원 373,026명입니다. 오늘은 행정부 소속 국가공무원 중 여자공무원의 연도별 수와 비율을 알아보겠습니다.
여성의 사회진출이 많아짐에 따라 여자공무원의 연도별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합니다. 2017년 과반수인 50% 넘고 2019년에는 50.8%까지 증가합니다.
2020년에는 여자공무원의 수는 증가하나 비율은 감소합니다. 2020년 남자공무원수가 많은 소방이 국가직으로 전환됨에 잠시 여자공무원 비율이 감소하지만 2021년 비율은 다시 증가합니다.
이제는 공무원사회에서 남자공무원이 다수가 아니라 여자공무원이 다수인 시대로 앞으로 여자공무원의 고위직 진출 등 사회적 지위가 올라갈 수 있는 바탕이 마련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3. 직종별 여자공무원 수
앞서 살펴본 여자공무원의 수는 다수에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이를 직종별로 살펴보겠습니다. 직종별로는 전체와는 많은 차이를 보입니다.
직종별로 살펴보면, 여자공무원 수는 아직 일반직은 38.3% 밖에 되지 않습니다. 특정직을 살펴보아도 72.6%인 교육직을 제외하면 아직 30%에 미치지 않는 수준입니다. 경찰·소방은 10%를 간신히 넘는 수준입니다.
그리고 중요한 부분인 정무직 또한 10% 수준입니다. 정무직 공무원이 대부분 장관, 차관 등 고위직 공무원이기 때문에 여자공무원의 위상을 여실히 드러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보면 아직 여자공무원이 나아갈 길은 많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4. 부처별 여자공무원 순위
이제 부처별 순위를 살펴보겠습니다. 부처별 순위에서는 정무직과 별정직은 인원이 소수이고 임기가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우리가 알고 있는 임기가 보장된 경력직 공무원인 일반직과 특정직 공무원만 계산하였습니다.
여자 공무원 순위 1위는 교육부입니다. 여자 교사의 비주이 월등히 높기 때문에 다른 부처에 비해 월등히 여자공무원 수 비율이 높고 그 수가 많습니다.
여자공무원 순위 2위는 여성가족부입니다. 부처명에 맞게 여자공무원 수가 많습니다.
여자공무원 순위 3,4,5위는 질병관리청, 식품의약품안전처, 보건복지부입니다. 공무원 보건직렬에 여자비율이 높기 때문에 해당부처에 여자공무원 수가 많은 것 같습니다.
병무청이 6위입니다. 조금 의외인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병무청에 파견된 군인의 수가 통계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 병무청에 근무하는 여자공무원 비율은 그에 미지치 못할 것 같습니다.
여자공무원 순위 7,8,9,10위는 고용노동부, 국가보훈처, 문화체육관광부, 법제처입니다. 다음은 국가공무원 부처별 여자공무원 순위입니다.
부처 | 전체 | 여성 | 비율 | 순위 |
교육부 | 377,915 | 272,318 | 72.1% | 1 |
여성가족부 | 334 | 226 | 67.7% | 2 |
질병관리청 | 1,632 | 1,061 | 65.0% | 3 |
식품의약품안전처 | 2,204 | 1,355 | 61.5% | 4 |
보건복지부 | 2,707 | 1,661 | 61.4% | 5 |
병무청 | 2,054 | 1,172 | 57.1% | 6 |
고용노동부 | 8,741 | 4,930 | 56.4% | 7 |
국가보훈처 | 1,519 | 849 | 55.9% | 8 |
문화체육관광부 | 3,135 | 1,627 | 51.9% | 9 |
법제처 | 284 | 147 | 51.8% | 10 |
국가인권위원회 | 261 | 134 | 51.3% | 11 |
통계청 | 2,337 | 1,183 | 50.6% | 12 |
관세청 | 5,671 | 2,707 | 47.7% | 13 |
국세청 | 23,294 | 10,952 | 47.0% | 14 |
국방부 | 1,129 | 527 | 46.7% | 15 |
인사혁신처 | 649 | 302 | 46.5% | 16 |
통일부 | 670 | 311 | 46.4% | 17 |
농림축산식품부 | 3,857 | 1,763 | 45.7% | 18 |
기상청 | 1,459 | 666 | 45.6% | 19 |
환경부 | 2,703 | 1,140 | 42.2% | 20 |
외교부 | 2,825 | 1,162 | 41.1% | 21 |
국무총리비서실 | 76 | 31 | 40.8% | 22 |
문화재청 | 1,090 | 437 | 40.1% | 23 |
국민권익위원회 | 558 | 222 | 39.8% | 24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166 | 66 | 39.8% | 25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 179 | 71 | 39.7% | 26 |
대검찰청 | 10,977 | 4,346 | 39.6% | 27 |
방송통신위원회 | 313 | 123 | 39.3% | 28 |
공정거래위원회 | 714 | 278 | 38.9% | 29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 85 | 33 | 38.8% | 30 |
금융위원회 | 363 | 138 | 38.0% | 31 |
방위사업청 | 1,181 | 429 | 36.3% | 32 |
조달청 | 1,154 | 416 | 36.0% | 33 |
국무조정실 | 500 | 177 | 35.4% | 34 |
산업통산자원부 | 1,545 | 540 | 35.0% | 35 |
농촌진흥청 | 1,951 | 677 | 34.7% | 36 |
기획재정부 | 1,306 | 435 | 33.3% | 37 |
행정안전부 | 4,067 | 1,330 | 32.7% | 38 |
중소벤처기업부 | 1,414 | 453 | 32.0% | 39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35,383 | 10,705 | 30.3% | 40 |
특허청 | 1,967 | 565 | 28.7% | 41 |
원자력안전위원회 | 187 | 53 | 28.3% | 42 |
산림청 | 1,997 | 548 | 27.4% | 43 |
감사원 | 1,124 | 291 | 25.9% | 44 |
해양수산부 | 4,299 | 1,104 | 25.7% | 45 |
국토교통부 | 4,530 | 1,123 | 24.8% | 46 |
새만금개발청 | 141 | 34 | 24.1% | 47 |
기타 정부기관 | 297 | 64 | 21.5% | 48 |
법무부 | 23,816 | 4,399 | 18.5% | 49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 72 | 13 | 18.1% | 50 |
경찰청 | 135,528 | 21,852 | 16.1% | 51 |
해양경찰청 | 12,302 | 1,439 | 11.7% | 52 |
소방청 | 61,157 | 6,109 | 10.0% | 53 |
최하위 부처는 국민의 안전을 책임지는 부서로 경찰청, 해양경찰청, 소방청이 차지하였습니다. 아무래도 업무수행에 있어 체력이 뒷받침되어야 하는 부서임을 반영하는 통계입니다.
이상 연차별, 직종별, 부서별 여자공무원 순위를 살펴보았습니다. 여자공무원 수는 현재 공무원 사회에서 숲은 이루었으나 숲 안에 있는 나무의 질은 좋지 않은 상황인 거 같습니다.
여자공무원은 교사 등 일부직종 및 부처에 집중되어 근무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가야 할 길은 많은 것 같고 정부에서도 고위직 등에 여자공무원을 배려하는 정책을 계속적으로 시행해야 될 꺼라 생각합니다.
오늘 포스팅이 여자공무원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공무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공안직 공무원 월급과 종류 (봉급 각종 수당 실수령액) (0) | 2023.01.31 |
---|---|
공무원 출장비 지급기준 (항목 종류 국내여비 근무지 내 출장 근무지 외 출장) (0) | 2023.01.27 |
2023년 일반 행정직 공무원 직급별 연차별 연봉 (서기보 서기 주사보 주사 사무관) (0) | 2023.01.20 |
공무원 7급 주사보 경사 소방장도 등록대상인 공직자 재산등록 (대상 시기 절차 처벌) (0) | 2023.01.19 |
2023년 일반직 공무원 급여명세서 항목 월급 봉급 각종수당 (2022년 비교) (0) | 2023.01.17 |
댓글